내부저항(internal resistance)

발전기나 전지, 전류계나 전압계 등의 내부회로가 갖는 단자(端子) 사이의 저항. 기전력을 가진 능동소자, 즉 전원이나 진공관 등을 2단자 회로망으로 나타내고 그 단자 사이의 전압을 V, 거기서 빼낸 전류를 I라 할 때 내부저항 R는 -dV/dl로 정의된다.
진공관에서 격자전압(格子電壓)이 일정할 때, 양극전류(陽極電流)-양극전압 곡선의 기울기의 역수를 양극 내부 저항이라 한다.
전압원이나 전류계처럼 이상적으로는 내부저항이 0이어야 하는 것에서는,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내부저항으로 생기는 전압강하가 전압변동이나 계기를 넣었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의 원인이 된다.
전류원이나 전압계처럼 이상적으로는 내부저항이 무한대여야 할 것에서는, 전압을 걸었을 때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같은 일이 일어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단열감률(adiabatic lapse rate ) 2010.08.09
- 이전
- 단열가설(adiabatic hypothesis) 2010.08.09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