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면적(sectional area, cross section)

① sectional area 일반적으로 연속 불체의 실제 단면, 또는 가상된 단면의 면적. 그러나 대개는 봉상부재(棒狀部材)의 축과 수직을 이루는 단면적을 뜻하는 예가 많고 이에 비해 임의의 사단면(斜斷面)을 그냥 절단면이라고 하여 이와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단위는 보통 mm, cm
등을 사용한다.
② cross section 양자역학적 입자가 충돌할 확률을 표시하는 양. 한 개의 입자 a를 다수의 산란체 A가 되는 표적에 입사시킬 때, 표적의 단위면적에 포함되는 A의 수를 N, a가 A와 충돌할 확률을 N 할 때의
를 단면적이라고 한다.
입사빔강도, 즉 단위시간에 입사하는 입자수가 I일 때 단위시간에 일어나는 충돌의 수는 IN이다.
A가 각 단면적 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진 표적이라 하고, a의 크기를 무시할 때 고전적인 의미의 충돌이 일어나는 확률과 같다.
단면적의 단위는 cm지만 핵물리학에서는 반(barn)이 사용될 때도 있다.
충돌 후 상태의 종류를 분류해서 산란의 단면적 및 반응의 단면적을 정의하거나 산란의 방향을 분류해서 미분단면적을 사용할 때도 있다.
이 때 이들의 합 또는 적분으로 표시되는 전체 양을 특히 전단면적이라고 한다.
단면적은 전이확률의 제곱에서 구하며, 전이확률은 보통 섭동론으로 계산된다.
단면적을 입사입자의 에너지함수로 표시한 것을 들뜸함수라고도 한다.
또 단위체적 속에 포함되는 원자 등의 단면적의 전체 합을 거시적 단면적이라고 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단면측정법 2010.08.09
- 이전
- 납화합물(lead compound) 201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