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parasitism)

다른 생물의 체표(體表) 또 는 체내에 더부살면서 영양도 흡수하는 생물. 기생하는 생물을 기생생물, 기생당하는 생물을 숙주(宿主)라 한다.
공생과는 달리 숙주는 다소라도 해로운 영향을 받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죽는다.
사람이나 짐승에 기생하는 각종 기생충, 곤충에 기생하는 기생벌 · 기생파리, 동식물에 기생하는 각종 곰팡이와 세균 등 그 예는 매우 많다.
어떠한 형식으로든 기생을 당하지 않는 생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넓은 뜻으로는 초식성의 소동물(대부분의 곤충류의 유층 등)도 식물에 기생한다고 할 수 있다.
〔기생동물〕 기생하는 방법에 따라 외부기생과 내부 기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외부기생을 하는 것으로 는 벼룩 · 이 · 진드기처럼 일시적으로 기생하는 것과 모기처럼 주기적으로 기생하며 홉혈하는 것 등이 있다.
게 등에도 주머니벌레(Sacculina)라는 작은 갑각류(甲殼類)가 기생하는데, 이것에 기생당한 수케는 마침내 수컷의 특징을 상실하고 암컷화하여 기생거세가 일어난다.
이것은 수컷의 특정을 발달시키는 선(腺)이 기생 결과 파괴당하기 때문이다.
또 2차 기생의 현상도 드물지 않다.
예를 들면 배추흰나비의 유충에 기생하는 배추벌레고치벌이 그 예의 하나인데, 이 경우에는 해충의 생물적 방제(生物的防除)에도 이용되며, 이것을 천적이라고 한다.
내부기생하는 것으로는 인축(人畜)의 체내에 기생함으로써 숙주의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이 많다.
인체의 주된 기생층은 회충 · 폐디스토마 · 간디스토마 · 십이지장충 · 촌충 등이며 이들은 중간숙주를 거치는 것이 많다.
〔기생식물〕 다른 생물에게 영양을 의존하는 종속영양식물에는 공생식불과 기생식물이 있고, 기생식물에는 바이러스 · 세균류 · 균류에서 고등식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식물이 포함된다.
기생식물이란 넓은 뜻으로는 이들의 총칭이지만 좁은 뜻으로는 기생생활을 하는 특수한 고등식물을 말한다.
기생식물이 기생하는 식물을 숙주식물이라 한다.
기생식물을 영양형식에서 보면 겨우살이 · 수염며느리밥풀처럼 스스로 클로로필(葉綠素)로 광합성을 하는 데도 불구하고 한편에서는 숙주식물에서 유기물 · 무기물을 흡수하여 종속영양적으로 생활하는 반기생식물과 야고처럼 완전히 다른 식물에 영양을 의존하는 전기생식물(全寄生植物)이 있다.
또, 전기생식물 중에는 야고 · 실새삼처럼 살아 있는 다른 생물에 기생하는 활물기생식물(活物寄生植物)과, 수정난풀 · 구상난풀처럼 생물의 시체나 그 분해도상의 것, 배설물 등을 영양원으로 하는 사물기생식물(死物寄生植物 ; 腐生植物)이 있다.
활물기생과 사물기생이란 섭취하는 탄소원 · 질소원 기타 영양물질의 화학적 특수성의 차이에 의한 것이 아니다.
활물기생에서는 숙주에게서 기생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어떤 종류의 물질, 예를 들면 비타민 · 호르몬 따위의 물질을 받아야 하지만, 사물기생에서는 이러한 공여가 필요하지 않다.
균류에도 활물기생과 사물기생이 있다.
송이버섯은 전자이고 표고는 후자이다.
세균류에서도 병원균은 활물기생이고 부패균 등은 주로 사물기생으로 생활하고 있다.
또 바이러스 · 박테리오파지 등도 활물기생이다.
활물기생식물 중에는 경우에 따라 사물기생이 될 수 있는 임의활물기생식물도 있다.
기생식물과 숙주의 관계는 어떤 기생식물이 임의의 숙주에게 기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새삼과 콩과식물, 송이버섯과 소나무처럼 기생식물과 숙주의 조합(組合)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기생거세(parasitic castration) 2010.08.07
- 이전
- 기상한계(climatic limit) 2010.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