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금성(Venus)

작성일 2010-08-07

지구 궤도의 바로 안쪽 궤도에서 공전하는 태양계의 행성. 수성 다음으로 태양에서 가장 가깝고, 수성과 함께 내행성(內行星)이라고 불린다.

금성은 날이 밝기 전의 동쪽 하늘과 해진 후의 서쪽 하늘에서 매우 높게, 밝게 볼 수 있어 「샛별」 「명성(明星)」이라고도 불리며, 서양에서는 미(美)와 사랑의 여신의 이름인 비너스라고 한다.

태양으로부터 평균거리는 0.7233AU(1억 820만km), 공전 주기는 0.6152년(지구의 날짜로 225일)이다.

궤도의 이심률은 0.0068로서 행성 중에서 가장 작고, 근일점(近日點)과 원일점(遠日點)에서 태양으로부터의 거리차(距離差)도 140만 km에 불과하다.

지구와의 회합주기(會合周期)는 584일인데, 이 날짜의 5배가 지구의 8년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금성과 지구와의 위치관계는 거의 8년마다 같은 위치가 되며, 이를 반복한다.

 

금성이 지구에 가장 접근하는 때는 금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올 때, 이른바 내합(內合)일 때 이고, 그 거리는 약 4200만 km로서 모든 행성 중에 서 가장 가까워지는데, 금성의 궤도이심률이 작기 때문에, 그 거리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외견상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어질 때는 이른바 최대이각(最大離角)일 때이며, 그 각도는 최대 47° 정도이다.

내합일 때에는 초승달 모양, 외합(外合)일 때는 보름달 모양, 최대이각일 때는 반달 모양으로 보인다.

내합의 전 후 35일째에는 외견상 면적이 최대가 되며, 가장 밝게 보인다.

이때를 최대광도(最大光度)라고 하는데, 거의 -4.7등의 밝기이며, 낮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금성의 적도 반지름은 605km로 지구의 0.95배, 질량은 지구의 0.815배, 평균밀도는 불의 524배며 모두 지구보다 조금 작고, 표면중력도 지구의 0.91배 이다.

 

내합일 때 금성의 시지름은 1분각이 넘지만, 그때는 태양에 가까워,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최대이각일 때도 25초각 정도이며, 대접근(大接近) 일 때의 화성과 같은 크기로 보인다.

금성은 짙은 대기와 두꺼운 구름으로 덮여 있고 반사능(反射能)은 0.78이나 된다(지구는 0.4).

자전주기는 전파관측에 의해 243일로 밝혀졌으며, 자전방향은 지구와 반대이다.

적도의 궤도면과의 경사각은 3°정도로 아직 금성에는 위성이 발견되고 있지 않다.

1960년대 이후 로켓에 의한 탐사(62년 미국의 매리나 2호) 결과, 금성표면의 대기압(大氣壓)은 약 90atm, 온도는 470℃ 이고, 대기의 주성분은 이산화탄소로서 약 96%를 차지하고 있으며, 질소 0.035%, 이산화황 0.015%, 수증기 0.01%, 아르곤 0.007%이며 이외에, 미량의 일산화탄소 · 네온 · 염화수소 · 플루오르화수소 등도 검출되었다.

산소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소련의 탐사체가 촬영한 금성표면의 암석은 화성암질이라고 생각되는데, 불그스름하게 퇴색한 듯한 색채는 산화물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금성을 덮고 있는 두꺼운 구름의 조성은 농도가 진한 황산으로 밝혀졌다.

금성표면의 고저(高低)에 관해서는 1978년에 미국의 탐사체가 레이더 반사파로 측정한 결과, 표면의 약 60%는 평균반지름에 대해 500m 이하의 차이 밖에 없고 매우 평탄하며, 불과 5% 정도가 2m1 이상 높은 지역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맥스웰산이라고 불리는 13km나 되는 높은 산도 존재한다.

크레이터인 듯한 지형도 있고, 화산의 존재도 추정되고 있다.

금성에는 자기장(磁氣場)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데, 이것은 금성의 자전이 매우 느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금속(metal) 2010.08.07
이전
금(gold) 2010.08.07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