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화에너지(localization energy )

짝계(共役系)의 한 원자를 공명에서 벗어나게 했을 때의 π전자계 에너지의 변화 부분. 예를 들어 벤젠의 탄소원자 하나에 H 이 첨가되어 벤제늄이온(
착물)을 만들면 그 탄소원자는 공명계에서 벗어나므로 공명에너지는 감소된다.
이 공명에너지 감소에 따른 π 전자계의 에너지 변동은 분자궤도법에 의해 벤젠의 경우에는 2.536 (단,
는 벤젠의 서로 이웃하는 탄소원자의 π 전자궤도 사이의 공명적분)로 계산 된다.
이런 국소화에너지는 여러 가지 방향족화합물에서 계산되었는데, 분자의 반응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중요시된다.
G. W. 벨란트가 1942년 방향족화합물의 치환반응에 관해 제시한 국소화모형의 이론에 의하면 이 종류 반응의 전이상태에서 반응계는 위에서 말한 벤제늄이온에 가까운 구조를 취하고 따라서 국소화에너지의 대소가 이 종류 치환반응의 반응성을 지배한다.
이런 입장에서 많은 치환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
첨가반응의 경우, 분자 안의 원자 두 개를 짝계에서 벗어나게 했을 때의 에너지 변동에 해당하는 오르토 또는 파라 국소화에너지나 하나의 2중결합을 짝계에서 벗어나게 했을 때의 에너지변동에 해당하는 결합 국소화에너지 등이 이용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국제공동해양관측 2010.08.05
- 이전
- 국소좌표계(local coordinate system ) 201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