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법칙(commutative law )

수나 식의 계산에서 계산순서를 바꾸어 계산하는 법칙. 교환율(交換律)이라고도 한다.
수 또는 식의 계산에서 계산의 순서를 바꾸어 계산해도 그 결과가 같을 때, 그 계산은 교환법칙이 성립한다고 한다.
덧셈의 교환법칙 a+b=b+a와 곱셈의 교환법칙 a×b=b×a가 있다.
즉, a에 b를, 또는 b에 a를 더하거나 곱해도 계산의 결과는 변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집합 S의 임의의 두 원소 x, y에 이항연산(二項演算)이 정의되고, 이 연산에 대해 x*y=y*x의 관계가 성립할 때 이 연산은 교환법칙이 성립한다고 한다.
교환법칙이 성립하는 연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자연수·유리수·무리수·실수 또는 복소수의 집합에서의 덧셈과 곱셈.
②∪및 ∩에 관한 집합연산
③명제의 연산에서 연산 에 대한 논리합과 논리곱.
④벡터에서 덧셈과 내적(內積)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교환자군(commutator subgroup ) 2010.08.05
- 이전
- 교치(hinge teeth ) 201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