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이온화(photoionization )

빛에 의한 원자의 이온화. 보통은 기체 원자의 경우를 가리키며 광전효과의 일종이다.
이온화할 빛 또는 전자의 에너지를 E라 하면 이온화에너지 E 근처의 이온효율 I는 빛의 경우는 E와 관계없고 전자의 경우에 I
(E-E)이므로 빛의 이온전류-에너지 곡선은 전자의 경우에 비해 훨씬 날카롭게 올라서게 되고, 이온화 포텐셜이 정확히 측정된다.
광이온화와 질량분석계를 조합시킨 실험은 이온쌍해리, 자동이온화, 그 밖의 각종 이온반응의 기본반응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X선, 선 등에서는 속껍질전자도 방출된다.
입사 광자의 에너지 이 전자의 이온화에너지보다 크고, mc
(m은 전자의 질량, C는 진공 내 광속도)보다 작을 경우 방출되는 전자의 대부분은 입사선과 직각 방향으로 향하고, 전단면적은
(Z
/137
)4
(mc
/
)
과 같아진다.
여기 은 톰슨산란에 대한 단면적 Z는 원자번호이다.
이 mc
보다 클 때는 복잡하지만 특히
mc
일 때는 전단면적은 (3/2)(Z
/137
) (mc
/
)
에 가까워진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광인산화(photophosphorylation) 2010.08.05
- 이전
- 광음향분광법(photoacoustic spectroscopy) 201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