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

용액에서 동시에 석출(析出)되는 2종 이상의 결정혼합물. 공정(共晶) 또는 공융정(共融晶)이라고도 한다.
어떤 종류의 혼합액체를 냉각시키면 일정한 응고점을 보이면서 일정한 성분비의 고체가 석출된다.
이 때 이 고체를 가열하면 그 응고점과 같은 온도에서 융해하며 이 고체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22.4% 와 얼음 77.6%의 혼합물은 -21.2℃에서 일정한 녹는점을 보이면서 융해한다.
이와 같이 무기염류와 물은 공융혼합물을 만드는 일이 많은데 이들을 특히 함빙정(含永晶)이라고 한다.
이 밖에 인쇄용활자로 쓰이는 안티몬과 납의 합금 등 많은 합금에서도 그 예를 볼 수 있다.
이들 공융혼합물은 일정한 녹는점을 갖기 때문에 겉보기에는 균일한 것 같으나 실제는 극히 미세한 이종(異種)의 결정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공장(factory : plant) 2010.08.04
- 이전
- 공융점(eutectic point)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