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고에너지물리학(high energy physics)

작성일 2010-08-03

원자핵물리학의 한 분야. 소립자의 성질이나 구조를 밝히는 소립자물리학을 고에너지물리학, 원자핵의 성질이나 구조를 밝히는 학문을 원자핵물리학이라 한다.

 

입자가속기를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소립자를 이용하는 연구분야를 뜻하며, 우주선에 의해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초고에너지 현상의 연구는 우주선물리학 또는 초고에너지 물리학이라 하여 구별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인공중간자나 V입자(지금은 K중간자나 ∧ 입자라 한다)의 발견에서 시작 하여 입자 가속기의 거대화와 더불어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으며, 자연계에는 스트레인지네스라고 하는 양자수(量子數)를 가진 소립자나 다수의 들뜬준위(勵起準位)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고에너지의 기준으로서 생성 가능한 입자를 기준으로 삼으면 π중간자(中間子)에 대해서는 3×10²eV, 새 입자에 대해서는 10eV, 핵자(核子)에 대해서는 eV 정도이다.

현재는 약 eV 이상의 고에너지 영역이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