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면지수(facial indices )

공간에서 결정면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 면지수라고도 하며 보통 밀러 지수로 표시한다.
결정면은 결정축을 잘라내는 비율로 표시한다.
결정의 축률(軸率)을 a : b : c라 할 때 이 비(比)의 p, q, r배, 즉 pa : qb : rc의 비가 결정면을 나타낸다.
이 때 1/p, 1,/q, 1/r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곱한 것(hkl)이 그 결정면의 면지수이다.
h, k. l은 0을 포함하는 간단한 정수(整數)이다.
육방정계(六方晶系)에서는 측축(側軸)이 세 개 있으므로 (hkil)이라고 표시한다.
이 때 h+k+ i=0이 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결정물리학(physics of crystals ) 2010.08.02
- 이전
- 결정면(crystal face ) 2010.08.02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