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반응(rejection)

어떤 개체의 초직을 다른 개체에 이식했을 때 그것을 배제하는 생체 반응. 개체 간에 이식수술을 하면 처음 7~10일 정도는 혈액공급도 회복되고 별다른 이상을 발견하지 못하지만, 그 후에 괴사(壞死)가 생긴다.
그 때문에 장기이식(臟器移植) 후에 각종 증상이 발생하여 이식수술이 실패로 돌아가기 쉽다.
사람의 체내에 이종(異種)의 조직이 들어가면 그에 대해 항체(抗體)가 만들어진다.
이는 혈액 속의 림프구가 그 이종조직에 접촉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림프절로 되돌아와서 거기서 항체를 만드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항체는 세포성항체(細胞性抗體)와 혈행성항체(血行性抗體)로 나누어지며 이 양자의 공동작용에 의해 거부반응이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개체방위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이식조직의 혈관은 그것들의 작용으로 내피세포(內皮細胞)가 상하여 혈전(血栓)을 형성하므로 혈행(血行)이 두절된다.
그 때 문에 괴사가 생기고 괴사조직은 체외로 배출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거성(giant star) 2010.07.30
- 이전
- 거문고자리베타형변광성(Lyrae type variable) 201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