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slag)

제강 때에 생기는 비금속성 찌꺼기. 제강로의 종류에 따라 전로(轉爐) 강재 · 평로(平爐) 강재 · 전기로(電氣爐) 강재 등으로 나뉘며, 제강 방식에 따른 강재의 염기도(鹽基度)에 따라 염기성 강재와 산성 강재로 구분된다.
전로 제강법에서 노속에 넣은 물질중 정련 때 강 속에 포함되지 않고 또 가스화하여 배출되지 않는 것은 강재가 된다.
산성 전로(베세머 전로)에서는 노 안에서 정련되는 금속량의 5~10%에 달하는 강재가 생긴다.
염기성 전로(토머스 전로)에는 탈인(脫憐)하기 위해 석회를 넣으므로 강재의 양이 많아져 정련 금속 중량의 15~35%에 이르게 된다.
성분은 대략 산화칼슘 CaO 45~55%, 오산화인 P O
18~22%, 산화망간 MnO 5~10%, 규산 SiO
5~7%, 철 Fe 8~12% 정도이다.
이 강재는 토머스 인비(憐肥)라는 비료가 된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강제진동(forced vibration) 2010.07.30
- 이전
- 강재(steel materials) 201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