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분열(meiosis)

유성생식(有性生殖)을 하는 생물이 생식세포를 형성할 때 일어나는 세포분열의 하나.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체의 세포는 2n(複相)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생물이 생식할 경우, 먼저 생식세포가 형성되고 생식세포는 n(單相)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처럼 2n에서 n으로 염색체의 수가 반감(半減)하는 세포분열을 감수분열이라 한다.
감수분열은 먼저 생식기구 내에서 체세포분열(體細胞分裂)을 반복하여 일정수 이상의 세포수가 되면 이 분열로 들어간다.
즉 감수분열은 제1분열과 제2분열의 연속된 핵분열(核分裂)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체세포분열일 때는 DNA 합성 후 시냅시스기(sinapsis期)를 거쳐 핵분열에 들어간다.
그런데 감수분열에서는 감수분열에 들어가기 전의 중간기(中間期)인 시냅시스기에 DNA 합성이 일어나고 제1분열과 제2분열의 간기(間期)에는 DNA가 합성되지 않는다.
즉 체세포분열에는 1회의 시냅시스기에 1회의 핵분열이 대응하지만 감수분열에는 1회의 시냅시스기에 2회의 핵분열이 일어난다.
염색체 DNA의 복제(複製)실험에서 염색분체(染色分體)를 구성하는 DNA는 한개임이 명백하다.
따라서 염색분체 자체는 그 이상 종렬(縱裂)할 수 없다.
감수분열시의 2회의 핵분열에서도 염색분체의 종렬이 일어나는 것은 1회이고 다시 1회의 핵분열은 접합(接合;對合)하고 있던 상동염색체(相同染色體)의 분리뿐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감수성(sensitivity) 2010.07.30
- 이전
- 감쇠스펙트럼(degradation spectrum) 201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