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락토오스(galactose)

분자식 . 알도헥소오스의 일종. D-갈락토오스는 유리상태로 존재하는 것은 드물고 2당류(락토오스 등) · 3당류(라피노오스 등) · 4당류(스타키오스 등) · 다당류(갈락탄 등) · 글리코시드 · 당지질(세레브로시드, 갈락토지질) · 당단백질 등의 성분으로 존재하며 이들을 가수분해하여 얻는다.
α형 결정은 1수화물로서 프리즘 모양이다.
녹는점 118~120℃. 무수물은 녹는점 167℃. β형은 무수결정. 고유광회전도 =144˚(α형), +52˚(β형), +80˚(종극값). 적응 효모에서는 먼저 갈락토오스-1-인산을 거쳐 글루코오스-1-인산이 되고 그 이후는 보통의 발효과정을 거쳐 대사된다.
L-갈락토오스는 한천이나 해조 다당류, 달팽이 다당류 등에 D-갈락토오스와 함께 이들의 구성 성분으로서 들어 있다.
L-갈락토오스는 둘시톨에서 DL-갈락톤산락톤을 거쳐 DL-갈락토오스를 얻고, D-갈락토오스만을 발효 분해하는 방법에 의해 얻는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다음
- 갈락토오스일인산(galactose-1-phos-phate) 2010.07.29
- 이전
- 갈락토사민(galactosamine) 201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