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레늄 [rhenium]

작성일 2017-11-10
원소기호 Re, 원자번호 75, 원자량 186.207, 안정핵종 존재비 185Re=37.07%, 187Re=62. 93%, 녹는점 3,180℃, 끓는점 5,627℃, 비중 21.02(20℃), 전자배치 [Xe] 4f14 5d5 6s2 주요 산화수 3, 4, 5, 6, 7. 주기율표 7A족인 망간족 전이원소에 속하는 금속 원소. 1925년 W. K. F. 노닥과 그의 부인 I. E. 타케에 의해 백금광물 속에서 발견되었다. 휘수연석, 니오브의 광석 컬럼바이트·백금석·함동편암(含銅片岩) 등에 미량 존재한다. 광석으로서 가장 중요한 휘수연석의 레늄 함유량은 0.1~21g/t, 정광(精鑛)의 레늄 농도는 0.01~0.02%이다. 주요 산출국은 칠레와 캐나다이다. 백색의 금속으로 대기 중에서 안정적이다. 1,0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산화된다. 분말은 흑색 또는 암회색이며, 산소 속에서 약간 가열하면 산화되어 산화레늄(Ⅶ) (Re2O7)을 발생한다. 습한 공기 속에서는 실온에서도 서서히 산화되어 과레늄산(HReO4)을 발생한다. 미세한 분말은 발화성이 있고 수소 및 질소와는 반응하지 않으며 인·비소·텅스텐·황·플루오린·염소·브롬 등과 반응한다. 염화나트륨(NaCl)과 혼합하여 가열 중에 염소를 통하면 헥사클로로레늄(Ⅵ)산칼륨(K)이 된다. 이 수용액을 아라비아고무의 존재 하에서 환원하면 레늄콜로이드가 나온다. 플루오린화수소산 및 염산에는 거의 침해되지 않으며 질산에는 빠르게, 황산에는 천천히 녹아 과레늄산이 된다. 과산화수소수·브롬수·염소수 등에도 녹으며, 산소의 존재 하에서 수산화알칼리와 용해하면 과레늄산알칼리가 된다. 수은과는 아말감을 만들며, 화합물은 산화수 7 및 4의 것이 안정적이다. 육방정계(六方晶系)이고 모스굳기는 8이다. 텅스텐 다음으로 녹는점이 높으며 비중도 텅스텐·오스뮴·백금에 이어서 높다. 전기저항도 텅스텐보다 수배 높다. 인장강도(引張强度)가 강하고, 고온에서 소멸한 레늄은 800℃ 이상에서 압연(壓延)·단조(鍛造)된다. 촉매·고진공(高眞空) 전자관재료·열전기쌍(熱電氣雙)·접점 초내열재료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백금의 경화원소·내열합금 등에 쓰인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