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망가니즈화합물 [manganese compound, -化合物]

작성일 2017-06-29
[요약] 망가니즈의 화합물로 망가니즈는 산화 상태가 다양하여 산화수 -3에서 +7까지 각 단계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망가니즈의 화합물. 망가니즈는 산화 상태가 매우 다양하여 산화수 -3에서 +7까지 각 단계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산화수가 낮은 망가니즈화합물로는 ① Mn(- Ⅲ) : 분자식 Mn(NO)3CO. 사면체 구조이다. ② Mn(- Ⅱ) : 분자식 MI2[Mn(pc)](pc는 프탈로시아닌). ③ Mn(- Ⅰ) : 분자식 HMn(CO)5. [Mn(CO)5]은 삼각양추(三角兩錐) 구조이다. ④ Mn(0) : 분자식 Mn2(CO)10. Mn원자를 중심으로 한 정팔면체가 Mn-Mn으로 결합한다. ⑤ Mn(I) : 전자구조 3d6. K5[Mn(CN)6], Mn(CO)5Cl, Mn(C5H5)(CO)3(C5H5는 시클로펜타디엔일기)가 있다. ⑥ Mn(II) : 전자구조 3d5. 가장 보편적인 망가니즈화합물이며, MnO 이외에 MnX2형의 2원화합물이다. 수화물 및 수용액은 Mn2+의 아쿠오 이온 때문에 엷은 핑크색을 띤다. 고스핀형이며 자화율이 크다. 자기모멘트는 5.8~5.9μB(보어마그네톤). 팔면체구조인[Mn(H2O)6]2+, 사면체구조인 MnCl42-, 정사각평면구조인 [Mn(H2O)4]SO4 · H2O가 있다. ⑦ Mn(III) : 전자 구조 3d4. Mn2O3, MnO(OH), K3[Mn(C2O4)3]·3H2O (핑크색), Mn(CH3CO2)3·2H2O(암갈색) 등이다. 불안정하여 열이나 빛에 의해 Mn(Ⅱ)로 환원되기 쉽다. 자기모멘트는 4.8~4.9μB이다. ⑧ Mn(Ⅳ) : 전자구조 3d3. MnO2가 잘 알려져 있다. 양쪽성이며 착물 이외의 단염의 예는 적다. ⑨ Mn(Ⅴ) : 전자구조 3d2. 분자식 MI3MnO4. 청자색이며 진한 알칼리 용액 속에 존재한다. ⑩ Mn(Ⅵ) : 전자구조 3d1. 망간산염 MI2 MnO4가 있는데, 녹색이며 알칼리성 용액 속에서 비교적 안정하고 산화력이 강하다. ⑪ Mn(Ⅶ) : 전자구조 3d0. 과망가니즈산염 MIMnO4이 대표적인 화합물인데, 적자색이고 강한 산화제이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