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볼록판이나 평판 방식에서 연속계조(連續階調) 화상을 농담계조(濃淡階調) 화상으로 재현할 때 동일 밀도로 농담계조를 이루고 있는 크고 작은 점. 이 망점의 형성상태에 따라 인쇄물의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볼록판이나 평판 방식에서 연속계조(連續階調) 화상을 농담계조(濃淡階調) 화상으로 재현할 때 동일 밀도로 농담계조를 이루고 있는 크고 작은 점. 이 망점의 형성상태에 따라 인쇄물의 품질에 큰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망점의 크기는 면적으로 나타내며 그 부분에서 망점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을 뜻한다. 이 면적비율을 망점면적률, 도트 퍼센트, % dot area로 표시한다.
[그림]은 망점 모델을 보여주는 것이다. 점선 부분이 a로 표기한 망점이 차지할 수 있는 단위면적이다. 이 단위면적에 대한 망점 a의 면적비율이 망점면적률이다. 즉 단위 면적 전부를 망점이 차지하면 민판(solid)이 된다. 이 상태가 망점면적률 100%망점이다. 망점이 점하는 면적이 반인 것이 50%망점, 망점이 없으면 0%망점 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