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드베리 상수(Rydberg constant)

[요약] 수소 같은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파장이나 진동수의 함수로 나타내기 위해 1890년 스웨덴의 물리학자 요한네스 로베르트 뤼드베리가 도입한 것이다.
수소 같은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파장이나 진동수의 함수로 나타내기 위해 1890년 스웨덴의 물리학자 요한네스 로베르트 뤼드베리가 도입한 것으로 이 값은 원자핵의 질량이 궤도를 돌고 있는 전자 1개의 질량보다 훨씬 크다는 가정 하에 정해졌다. 기호는 R에 무한대 표시를 더한 R∞로 나타낸다. 뤼드베리 상수 R∞의 값은 1.097373177×107m-1이다.
일련의 스펙트럼 선을 표현하는 수학식에 뤼드베리 상수를 쓰면 그 결과로 단위길이당의 파수를 구할 수 있다. 여기에 빛의 속도를 곱하면 스펙트럼 선에 대응하는 진동수 또한 얻을 수 있다.


- 다음
- 르메트르 모형(Lemaitre model) 2017.05.29
- 이전
- 뤼드베리 공식(Rydberg formula) 2017.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