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radio)

전자기파(電磁氣波 ; 전파)를 이용한 통신법의 총칭. 보통은 무선(無線)에 의한 음성·음향의 방송 및 그 수신기를 말한다. 미니 FM (frequency modulation, ultra-short wave ; 초단파) 방송을 포함한다.
〔라디오 방송〕
(1) 분류 : 라디오 방송은 이용하는 전파의 주파수에 의해 중파방송·단파방송·초단파방송으로 분류되고, 혹은 변조방식에 따라 진폭변조의 AM(amplitude modulation, medium wave ; 중파)방송과 주파수변조의 FM방송으로 분류한다. AM방송은 서비스 범위가 넓고 수신 형태가 간편하며, 단파방송은 전파의 도달거리 관계로 주로 해외방송에 이용된다. 앞으로 음질면에서 실용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은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와 같은 음질이 보장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 펄스부호변조)에 의한 고품질 음성방송이다.
(2) 역사 : 라디오의 탄생은 무선통신의 개발의 역사와 연관된다. 1864년 J. C. 맥스웰에 의한 전자기파의 존재의 예언에서 88년 H. R. 헤르츠에 의한 그 존재의 실증을 거쳐, 이탈리아의 G. 마르코니가 95년 무선통신의 기본기술을 발명했다. 그 후 1904년 J. A. 플레밍에 의한 2극진공관의 발명과 06년 L. 드 포리스트의 3극진공관의 발명을 계기로 무선전신·전화는 제1차 세계대전 중에 급속히 발전했다. 세계 최초의 정식방송은 20년 11월 2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KDKA국에서 행한 W. G. 하딩 대통령의 선거 보고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15년경 경성 우편국과 체신국 사이에서 실시된 무선전화 송수신 시험이었고, 최초의 무선방송 시험은 25년에 체신국의 무선방송 실험실에서 출력 50W로 실시되었다.
〔방송에서 수신까지〕
(1) 송신설비 : 연주소(방송국 내의 스튜디오, 외부의 음악당·야구장·가두의 서치라이트 스튜디오 등)에서 보내온 음성신호를 전파에 실어 방송하는 설비로서, 방송기(放送機)와 송신 안테나로 되어 있다. 중파방송기는 반송파(음성신호를 싣기 위한 고주파)를 만들기 위한 발진부, 음성신호를 증폭시키고 반송파를 진폭변조(AM)하는 변조부 및 안테나와의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고, FM방송기는 스테레오 변조를 하는 스테레오변조기, 주파수 변조(FM)하여 그 신호를 체배(遞倍)·증폭하는 FM여진기(勵振器) · 전펵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들 방송기는 반도체 기술의 개발로 대부분 반도체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전력 부분은 진공관을 사용 하고 있다.
(2) 수신기 : 수신기는 수신한 고주파신호를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시켜 증폭하는 슈퍼헤테로다인방식을 쓰고 있다. 그 구성은 안테나, 희망하는 전파주파수(중파방송은 526.5~1606.5kHz, FM방송은 76~90MHz)에 동조하여 증폭하는 고주파증폭기, 중간주파수(중파방송은 455kHz, FM방송은 10.7MHz)로 변환하기 위한 국부 발진기와 주파수 변환기, 중간주파증폭기, 검파기, 음성주파증폭기 등으로 되어 있다.
- 다음
- 라디오컴퍼스(radio compass) 2017.05.25
- 이전
- 산성 [acidic, 酸性] 2017.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