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디지털 전송(digital transmission)

작성일 2017-05-25
정보를 양자택일하는 2진 신호 또는 3진 신호 등의 이산적(離散的)인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전달하는 통신 방식. 정보에는 디지털 컴퓨터로의 데이터 신호와 같은 디지털 신호와 전화와 같이 정보를 그대로 비례적인 전기량으로 변환시킨 아날로그 신호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인 펄스부호변조(PCM) 방식은 영국의 A. H. 리브스가 1937년에 발명하고, 미국의 C. E. 샤논이 이론적인 연구를 했다. 디지털 통신의 특징은 아날로그 신호를 그대로 보낼 때 문제가 되는 잡음의 혼입이나 파형(波形)의 뒤틀림이 없다는 데 있다. 초기에는 디지털 신호를 다루는 회로소자로서 적절한 것이 없었기 때문에 실용화되지 않고,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전화신호의 전송에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전화국 사이를 연결하는 국간 중계선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에 의한 위성통신이나 전화국에 비치된 교환기 등도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다. 디지털 컴퓨터의 발달은 디지털 신호를 다루는 집적회로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했으며 디지털 통신기기의 집적회로화를 가능하게 했다. 또한 데이터 통신이나 팩시밀리 통신 등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고, 이들 신호는 원래 디지털이므로 디지털 통신방식과의 정합성(整合性)이 좋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전화·데이터·영상 등 각종 정보를 디지털 전송로와 교환기에 의해 전달하는 종합정보통신망 (ISDN)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