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엽충 [trilobites, 三葉蟲, Trilobita]

절지동물문 삼엽충강을 구성하는 바다 화석동물.
대부분은 바다에서 저서생활을 했고, 환경에의 적응으로 몸은 납작하고 1~10㎝인 것이 보통이며, 유럽의 오르도비스기 지층에서 산출된 큰 것은 70㎝에 달한다. 몸의 길이를 따라 중세로로 중앙의 융기한 축부와 좌우의 편평한 늑부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삼엽충이라 한다. 몸은 머리, 가슴, 꼬리로 이루어져 있으나 죽은 후 분리되어 일부분만 화석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몸은 키틴질로 덮여 있고 등 쪽은 딱딱한 등딱지로 이루어져 있다. 등에는 인산칼슘 성분의 배갑(背甲)이 있다. 각 부분은 많은 마디로 되어 있으며 몸 아랫부분 각 마디의 양쪽에 1쌍의 다리가 있다. 머리는 보통 반달 모양이며 중앙부의 융기한 두안과 양쪽의 협으로 이루어진다. 겹눈이 있는 것도 있다. 가슴과 꼬리는 많은 몸마디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슴의 몸마디는 가동적(可動的)이어서 몸을 구부릴 수 있는 반면 꼬리의 것은 유합하여 하나의 판으로 되어 있다. 배면에는 각 몸마디가 유영에 사용하는 부속지가 한 쌍씩 있다. 30회 가량의 탈피를 하여 성체가 된다고 추정된다.
삼엽충은 원시적인 갑각류와 유사하며 고생대 초기에 출현하였다. 캄브리아기에 번성한 것은 캄브리아기 말기에서 오르도비스기 말기에 전부 절멸하고, 오르도비스기에 다른 무리가 출현한다. 최종적으로는 페름기 중기에 절멸하는데 삼엽충의 쇠퇴는 어류의 번성과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다. 이 점으로 미루어 삼엽충이 어류의 먹이가 되었고, 그것이 삼엽충이 쇠퇴하게 된 하나의 이유라고 추정된다. 고생대의 주요 표준화석으로 1500속 1만 종이 알려져 있다.




- 다음
- 석호 (lagoon, 潟湖) 2017.05.08
- 이전
- 상호 (1879~?) 2017.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