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요약] 단사정계의 광물로 점토광물의 일종이다. 굳기 1~1.5, 비중 2~2.5이다. 백색·황색·담황색·담녹색·녹색·청색을 띠며 광택은 없다.
화학조성이 (AI, Mg)2Si4O10(OH)2·4H2O인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 3층 구조를 가진 점토광물의 하나이다. 보통 괴상·토상을 이루며 전자현미경하에서는 약간 외형이 뚜렷하지 않은 판상을 이룬다. 굳기 1~1.5, 비중 2~2.5이다. 백색·황색·담황색·담녹색·녹색·청색을 띠며 광택은 없다. 층간에 물을 흡수하여 현저히 팽창해 본래 부피의 7~10배가 되며, 이온교환성이 매우 높다. 화산재나 응회암이 변질된 벤토나이트(bentonite)의 주성분 광물로서 내부 마찰저항이 작은 특수한 성질의 점토이다. 암석이나 알루미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광물의 변질로 인해 생기며 점토가 포함된다. 또한 화산재 등의 변질물로서 퇴적암 속에서 산출되며, 열수작용·풍화작용 등에 의해서도 생성되고 토양 속에도 혼재한다. 종종 다른 점토광물 또는 점토구조물질과 혼합층 점토광물을 형성하며 녹니석과의 혼합층도 가끔 발견된다.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벤토나이트·산성백토는 석유정제에 사용된다. 몬모릴론석이라고도 한다.
- 다음
- 가늑골 (false rib, 假肋骨) 2017.03.27
- 이전
- 목성형 행성[Jovian Planets, 木星型行星]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