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무사분열(amitosis, 無絲分裂)

작성일 2017-03-10
[요약] 생물세포에서 핵분열의 한 형으로 유사분열과 달리 염색체와 방추체가 나타나지 않고 핵이 둘로 나뉘어져 2분되는 분열이다. 생물 세포는 대부분 유사분열을 하나 상해를 자주 입는 자주달개비의 줄기세포 등 특별한 경우에만 무사분열이 일어난다. 그러나 최근에는 본래 무사분열이라고 간주했던 분열이 정상적 핵분열이거나 핵 형태의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포핵분열의 하나. 직접분열이라고도 한다.유사분열·간접분열에 대응되는 말이다. 염색체나 방추체가 형성되지 않고 핵이 아령 모양으로 길어지면서 그대로 끊어지는 분열법이다. 하등동식물과 고등생물의 특수한 세포핵에서 일어나며 병적인 세포나 퇴행중인 세포에서, 또 세포증식이 빨리 일어나야 하는 조직의 세포에서 나타난다. 때때로 약품 등 외부의 영향에 의해 무사분열이 일어나기도 한다. 아메바·효모균 등의 분열, 짚신벌레의 대핵 분열, 쇠뜨기말의 절간 세포, 양달개비 줄기의 세포핵, 사람의 연골세포, 쥐의 힘줄 세포, 병든 세포, 노쇠한 세포 등에서 볼 수 있다. 무사분열의 결과는 유사분열과 마찬가지로 1개의 모세포에서 2개의 딸세포가 생긴다. 그러나 세포 내 또는 세포 밖의 환경 변화, 약품의 영향, X선 조사 등에 의해 이상분열하여 2개의 핵이 완전한 2개의 딸세포로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무사분열(僞無絲分裂)이라고 한다. 무사분열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