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변연계 (limbic system)大腦邊緣系

신피질(新皮質) 이외의 대뇌피질, 즉 구(舊)피질과 고(古)피질이 이루는 기능계.
대뇌피질을 계통발생 및 개체 발생적으로 보면 오래된 것 순으로 구피질 · 고피질 · 신피질의 셋으로 구분되는데, 구피질과 고피질을 통틀어 변연피질이라 한다. 변연피질과 신피질은 세포의 구축(構築)면에서도 서로 다르다. 신피질과 변연피질의 경계부분의 세포구축은 신피질과 같고 기능적으로는 변연피질과 같은 중간피질이 있다. 사람의 중간피질에는 대상회(帶狀回) · 구(鉤) · 전도회(前島回) · 해마방회(海馬旁回) 등이 포함된다. 시상 하부 · 시상중계핵 · 기저핵 등은 기능적으로 변연피질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으므로 변연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대뇌변연계의 제1의 기능은 본능행동, 즉 개체유지와 종복보전의 기본적인 생명활동에 관한 것이다. 시상하부의 외측부에 있는 공복중추(空腹中樞)에서 나오는 임펄스가 변연피질에 도달하면 변연계로부터 섭식행동발동(攝食行動發達)의 임펄스가 나오고 시상하부의 안쪽에 있는 만복(滿腹)중추의 활동에 의해 섭식행동을 정지하게 된다.
변연계의 제2의 기능은 쾌 · 불쾌 · 놀람 같은 정동(情動)의 발현에 관한 것이고, 제3의 기능은 자율기능의 조절이다.자율기능의 종합중추는 시상하부에 있으며 변연계에 의해 영향받고 있다. 변연피질의 어느 부위를 자극하면 혈압, 호흡운동, 위의 긴장, 자궁운동에 변화를 일으킨다.
- 다음
- 대뇌핵 (basal ganglia)大腦核 2017.02.24
- 이전
- 들숨(inspiration)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