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덩굴마름병(black rot ; gummy stem blight )

작성일 2017-02-10
자낭균(子囊菌)에 의한 식물병의 하나. 한국의 경우 경기도 이남의 온난한 지방에서 종종 발생하는데, 7월 하순부터 8월 상순경에 수박 · 참외 · 오이 · 멜론 · 호박 · 수세미 · 박 등에서 볼 수 있다. 병징은 병든 식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잎 · 줄기 · 열매꼭지 · 열매에 나타난다. 처음에는 유침상(油浸狀)이나 점차 표면이 하얘지고 틈이 생기며 나중에 흑색의 작은 입자가 밀생한다. 심한 때는 지상부가 완전히 말라 죽는다. 잎에는 잎가부터 발병하여 황갈색의 큰 병반(病斑)이 생기고 나중에 마른다. 말기에는 줄기에서와 같이 흑색의 소립점(小粒點)이 많이 나타난다. 과실에는 처음에 수침상(水浸狀)의 병 무늬가 생기고 나중에 흑갈색이 되며 별 모양으로 찢어지고 내부는 코르크화(化)한다. 병원균은 마이코스파에렐라 멜로니스(Mycosphaerella melonis)로 병포자와 자낭포자를 만든다. 제1차 전염원은 병포자와 자낭포자이고 제2차 전염원은 병포자이며, 불과 바람에 의해 각피 침입을 한다. 방제법은 종자소독과 아울러 무병묘(無病苗)를 골라 심고, 이병식물(罹病植物)은 소각한다. 또 약제살포와 발병부위에 약제 바르기 등이 있다. noname01
다음
단구[terrace, 段丘] 2017.02.10
이전
단구 (fracture) 2017.02.10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