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어호프반응(Meyerhof reaction, -反應)

[요약] 산소의 흡수가 일어나는 동시에, 알코올 발효 등의 효소 작용의 능률이 떨어지는 반응이다.
동물 생리과정의 하나인 해당과정이 산소에 의해 저해되는 현상. 파스퇴르-마이어호프 반응, 또는 파스퇴르 효과라고도 한다. 이 현상의 발견은 파스퇴르가 효모의 알코올 발효량과 산소 분압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호흡(완전산화하는 것으로 가정하고)에서 얻어지는 에너지는 같은 양의 당의 발효에서 얻어지는 에너지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는 에너지 효율면에서 유리한 산소에서 대부분을 얻는다. 즉, 생체는 산소의 존재에 의해 당의 소비량을 조절한다. 그 조절 기구를 보면, 발효계의 제1효소 프룩토오스인산키나아제는 ATP와 시르트산에 의해 반응이 저해되는데, 산소가 존재하면 ATP와 시트르산의 농도가 높아져 효소작용을 저해하게 되고 따라서 발효정도가 감소된다. 또 다른 조절기구에 관한 학설로는 호흡에 의해 ADP의 양이 감소하여 이것을 기질(基質)로 하는 발효계의 효소 글리세롤산 인산키나아제와 피루브산 인산키나아제의 반응저하가 일어난 결과라고 한다. 그러나 파스퇴르 효과는 이러한 조절기구에만 의존하지 않고 생체 조직의 종류나 어떤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 다음
- 마이오글로빈(myoglobin) 2017.02.10
- 이전
- 뉴턴 망원경 (Newtonian telescope) 201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