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핀(morphine)

[요약] 아편의 주성분인 알칼로이드이다.
분자식 C17H19O3N. 아편(阿片)의 주성분. 아편에 9~14% 함유되어 있다. 모르핀은 1805년 독일의 약사 F. W. A. 제르투너가 처음으로 분리했고, 1952년 M. 게이츠 등이 화학적으로 합성했다. 알칼로이드로 분자량 285.3, 녹는점 254℃. 냄새는 없으나 맛이 쓴 무색결정이고, 약물로는 염산염 또는 황산염이 사용된다.마취제로 진통·진해·진정·최면에 효력이 있고 통증에 수반되는 불안을 제거하며 불쾌한 감각을 없애주고 쾌감을 느끼게 하여 도취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성질은 습관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며, 차츰 용량을 늘리지 않으면 처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는 상태, 즉 내성이 커지는 동시에 모르핀 의존이나 모르핀 중독을 일으키므로 마약으로 지정되어 있다.
〔생리작용〕 적은 양으로 강한 진통작용이 있고 호홉억제작용을 하여 잠들게 한다. 위의 운동을 억제시키며 위산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유문괄약근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음식은 위내에 머물기 쉽고 또 장관 평활근의 긴장을 고조시키며 연동운동을 억제하고 수분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강한 지사작용을 한다. 이 작용에는 괄약근의 수축과 배변반사의 억제도 포함된다.
〔중독증상〕 일반적인 부작용은 호홉억제 외에 오심·구토·변비 등의 소화관증상으로 나타난다. 대량 섭취에 의한 급성중독에는 혼수·축동·체온하강·호흡억제 등이 차례로 출현하며 호흡정지에 이르러 죽게 된다. 급성중독, 특히 호흡억제에는 길항제인 날로르핀이나 레발로르판 등을 투여한다. 소아·노인·쇠약자에게는 특히 호흡억제작용이 강하다. 또 태아에게도 이행하며 분만시 모체에 주사한 모르핀으로 신생아가 호흡억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모유에 이행하므로 임신부나 수유부에게 투여하는 것은 금물이다. 모르핀 반복섭취에 의한 만성중독은 이른바 정신적 의존에 더하여 신체적 의존에 이른 상태이므로, 약의 섭취를 중단할 수 없다. 만약 중단하면 의존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하품을 하고 눈물·콧물을 흘리며 땀·열이 나고 산동·진전·식욕부진·불안·구토·설사·호흡수증가·혈압상승·체중감소 등 증상이 나타난다.


- 다음
- 닌히드린반응 [ninhydrin reaction, -反應] 2017.02.07
- 이전
- 럭스(lux, ㏓) 2017.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