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라우에법(Laue method)

작성일 2017-02-01
단결정(單結晶)에 의한 X선의 회절상(回折像)을 촬영하는 방법. 1912년에 M. 라우에가 개발했다. 라우에법은 정지하고 있는 단결정의 작은 조각에 연속 X선의 가늘고 평행한 살(빔)을 투사하여 단결정의 뒤쪽에 살과 수직으로 세워둔 필름에 회절상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각각의 격자면에 대해 브래그조건(Bragg conditions)을 만족시키는 파장만이 반사되어 라우에사진을 얻게 되므로 단결정의 대칭성·방위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M. 라우에는 이 방법에 의해 처음으로 X선의 회절현상을 발견했을 뿐 아니라 X선이 전자기파임을 밝히는 동시에 X선에 의한 결정구조해석의 단서를 제공했다. 필름을 전방에 두는 배면(背面) 라우에법도 있다. noname01
다음
니켈 [nickel] 2017.02.01
이전
라우에대칭(Laue symmetry) 2017.02.01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