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저항(internal resistance)

[요약] 발전기나 전지, 전압계나 전류계 등 기기의 내부회로가 지닌 저항을 말한다.
발전기나 전지, 전압계나 전류계 등 기기의 내부회로가 지닌 저항을 말한다. 도선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도선 사이에 전류계를 설치하는데 전류계로 들어간 전류는 전류계에 의해 측정된다. 이때 전류계의 내부저항 때문에 측정하려는 전류가 바뀌기 때문에 내부저항이 0인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전압계도 내부저항이 전압계가 연결되는 회로의 저항보다 훨씬 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전압계가 회로의 일부가 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전압 차가 바뀌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이 된다.
기전력을 가진 능동소자, 즉 전원이나 진공관 등을 2단자 회로망으로 나타내고 그 단자 사이의 전압을 V, 거기서 빼낸 전류를 I라 할 때 내부저항 R는 -dV/dl로 정의된다. 진공관에서 격자전압(格子電壓)이 일정할 때, 양극전류(陽極電流)-양극전압 곡선의 기울기의 역수를 양극 내부 저항이라 한다. 전압원이나 전류계처럼 이상적으로는 내부저항이 0이어야 하는 것에서는,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내부저항으로 생기는 전압강하가 전압변동이나 계기를 넣었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의 원인이 된다. 전류원이나 전압계처럼 이상적으로는 내부저항이 무한대여야 할 것에서는, 전압을 걸었을 때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같은 일이 일어난다.


- 다음
- 루이 드브로이(Louis Victor de Broglie, 1892.8.15 ~ 1987.3.19) 2017.01.26
- 이전
- 납축전지(lead storage battery) 2017.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