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내복약(內服藥)

작성일 2017-01-25
[요약] 경구적(經口的)으로 내복(內服)에 쓰이는 의약품으로 약물을 내복하면 위에서 흡수되어 간에 이르고 거기서 화학적 변화를 받아서 정맥에 들어간 다음 심장을 거쳐서 혈액의 순환계통으로 들어가서 온몸으로 운반된다. 경구적(經口的)으로 투여되는 의약품. 산제(散劑)·과립제(顆粒劑)·정제(錠劑)·캅셀제(capsule劑)·환제(丸劑) 등의 고형제(固形劑) 외에 액제(液劑)·시럽제(syrup劑)·엘릭서제(elixir劑)·탕제(湯劑) 등이 있다. 내복약은 가장 보편적인 제제이지만 약물에 따라 위장의 산(酸)·알칼리·효소 등에 의해 변질하거나 간장의 해독작용을 받아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내복약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