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로켓 (lunar rocket)

달 또는 달 주변의 우주공간을 관측하기 위해 발사된 로켓.
달의 생성원인이나 생성시기 및 구성물질을 조사하고, 나아가 인류가 다른 천체로 비행하는 기지로 활용키 위해 직접 탐사기를 보내는 계획은 1950년대 말부터 미국과 소련에 의해 주도되었다. 탐사기를 달에 직접 보내서 최초로 관측한 것은 59년 1월에 쏘아 올린 소련의 루나 1호이다.
〔소련의 달로켓〕 1959년 1월 2일 보스토크 로켓으로 쏘아 올린 루니크 1호는 달 표면에서 5,000km 떨어진 위치를 비행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그 후 태양주위를 도는 세계 최초의 인공행성이 되었다. 루니크 2호는 달 주위에 자기장이나 방사선대가 없는 것을 관측하고 난 후 달에 충돌했다. 그리고 루니크 3호는 인간이 본 적이 없는 달의 뒷면을 사진 촬영 하는 데 처음 성공했다. 63년에는 달에 연착륙할 수 있는 루나 시리즈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루나 시리즈는 8회까지 실패한 끝에 마침내 66년 1월 31일 발사한 루나 9호가 달 표면에 최초로 연착륙했다. 루나 13호도 연착륙에 성공하여 루나 9호와 같은 과학관측을 수행했다. 70년 9월 12일에 쏘아 올린 루나 16호는 달을 도는 궤도로 진입한 후에 하강 엔진을 끄고 보조 엔진인 버니어 엔진(vernier engine)을 사용하여 연착륙했다. 그리고 지상에서 보내는 원격 작동명령에 따라 토양 굴착 장치가 내려지고 흙을 채취하여 수납했다. 그 후 루나 20호, 24호도 샘플을 지구로 가져오는 데 성공하여 채취한 달의 토양은 총 0.32kg이나 되었다. 루나 21호를 통해 달 표면 탐색차 루노호트 2호를 보내 4개월 동안 달 표면을 37km나 주파하고 과학관측을 했다. 소련은 76년에 발사한 루나 24호를 통해 달의 토양을 채취한 것을 끝으로 달 표면 탐사위성은 더 이상 보내지 않았다.
〔미국의 달로켓〕 미국은 파이어니어 시리즈로 달탐사를 시작했다. 파이어니어 4호가 달에서 약 6만km 떨어진 부근을 통과한 것 외에는 괄목할 만한 실적이 없었다. 그러다가 레인저 계획이 착수되었고, 1호에서 6호까지는 실패로 끝났으나 레인저 7호는 달 표면에 충돌하기 전까지는 모두 4,300매의 고해상도 사진을 전송해 왔다. 그 후 레인저 8호와 9호도 성공하여 각기 고요의 바다 및 알폰소스 분화구에 충돌하기 전까지 많은 고해상도 사진을 전송해 왔다. 미국의 달 표면 연착륙은 서베이어 계획으로 실행되었다. 서베이어 1호는 루나 9호보다 4개월 늦은 66년 5월 30일에 발사되었다. 달 표면탐사체로서의 기능은 루나 9호보다 훨씬 뛰어나 달 표면 약 4m 고도에서 모든 엔진을 끄고 자유낙하했다. 서베이어 1호는 적색 · 청색 · 녹색의 3원색 필터를 써서 텔레비전 카메라르로 촬영한 사진을 지상에 보냈는데 이를 합성함으로써 달의 컬러사진이 완성되었다. 서베이어 3호 · 5호 · 6호 · 7호도 연착륙에 성공하여 아폴로 계획의 착륙예정 지점을 중심으로 관측했다. 한편, 서베이어 계획과 병행하여 궤도상에서 아폴로 착륙선의 착륙예정지점을 상세히 조사하는 루너 오비터 계획도 진행시켰다. 66년 8월부터 67년 8월까지 5기의 인공위성이 발사되어 모두 성공했다. 루너 오비터 1호는 66년 8월 10일에 아틀라스 아제너 D로켓으로 발사되어 근월점189.1km, 원월점 1,866.8km의 장타원궤도에 진입했다. 궤도는 그 후 여러 번 수정되었지만 그 비행기간 중 초점거리 80mm의 광각 카메라 및 610mm의 망원 카메라로 사진촬영을 했다. 해상력을 높이기 위해 사진필름을 사용했고 위성 내에서 현상하여 나타난 농담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지상으로 송신하는 방식을 태했다. 아폴로 우주선을 통해 인간을 달 표면에 보냈다가 귀환시킬 목적으로 미국은 아폴로 계획에 착수했다. 아폴로 계획은 1961년에 시작되었다. 아폴로 우주선의 무게는 36t이나 되었는데, 이를 달까지 보내기 위해 초강력 새턴로켓을 개발했다. 아폴로 우주선은 시험을 거듭하여 11호부터 유인 달탐사를 시도했다. 아폴로 11호는 69년 7월 16일에 발사되어 7월 20일 고요의 바다에 연착륙하여 처음으로 인간이 달 표면을 밟는 데 성공했다. 사고로 인해 달 표면에 착륙하지 못하고 귀환한 13호를 빼고는 72년 12월의 17호까지 12명의 우주비행사가 달 표면에 갔다 왔다. 미국의 달탐사는 아폴로 계획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 다음
- 달착륙선 (Lunar Module ; LM) 2017.01.25
- 이전
- 존 델린저(John Howard Dellinger, 1886.7.3 ~ 1962.12.28) 201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