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냉동(refrigeration, 冷凍)

작성일 2017-01-25
[요약] 어떤 물질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주위보다 낮춰 그 온도를 보존하거나 동결시키는 조작이나 과정을 말한다. 어떤 물질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주위보다 낮춰 그 온도를 보존하거나 동결시키는 조작이나 과정. 냉동은 대부분 물질의 상변화를 이용한 것으로 이때 주변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주변온도를 하강시킨다. 냉동기가 작동되면 냉매는 저압과 고압의 두 압력 상태로 존재하는데 냉매에 의한 냉동 사이클의 형성이 필요하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냉동 방식인 증기 압축식은 압축기, 응축기, 압력강하장치, 증발기가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냉매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따라 증기 압축식과 액체 압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냉장고나 에어컨 등에는 주로 증기 압축식이 이용되고, 대형 건물의 냉방이나 온수 열원, 증기 열원, 직화식 열원이 이용된다. 냉동방식으로는 액체의 증발과 응축, 압축기체의 단열팽창(斷熱膨脹), 기체의 탈착(脫着), 펠티에 효과의 이용 등이 있다. 대체로 액체는 증발할 때 주위에서 증발열을 빼앗으므로 그만큼 온도가 내려간다. 이것을 효율화하기 위해 암모니아·프레온 등 냉매를 사용하여 압축·액화하는 증기압축식·증기분사식이 있다. 또한 기계적 압축 대신 열원(熱源)을 이용해서 열적(熱的) 압축을 하는 흡수식도 있다. 기체를 단열적으로 급팽창시킬 때 저온이 되는 현상을 이용해서 압축기체를 사용하는 기체냉동, 활성탄 등 다공성(多孔性) 품질이 고압·저온 상태에서 흡착한 다량의 가스를 탈착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저온을 이용하는 냉동방식,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는 전자냉동 등이 있다. 냉동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