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 운동(motion of falling body, 落下運動)

[요약] 물체가 중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을 말한다.
물체가 중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는 운동. 물체는 낙하하는 동안 일정한 크기의 중력이 아래로 작용하는데 이때 물체의 운동방향과 중력의 방향이 같아서 속도가 증가한다. 중력가속도는 낙하하면서 1초 동안 속력이 9.8㎧ 증가하는 속도를 말하는데, 지구가 완전한 구형이 아니므로 이 값이 늘 일정한 것은 아니다. 또한 중력 외에는 아무 힘도 작용하지 않는 진공 상태에서 측정한 값이라 공기의 저항이 있을 경우 이 값이 달라진다. 갈릴레오(1590년)가 피사의 사탑에서 100파운드와 1파운드의 쇠공을 떨어뜨린 실험을 통해 공기의 저항이 없으면 지구상의 모든 물체를 지구가 같은 힘으로 끌어당긴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중력 가속도가 일정한 범위에서는 떨어질 거리 y와 떨어지기 시작한 때부터의 시간 t 사이에는 y=vt+gt2/2의 관계가 성립된다. 단, v는 초속도, g는 중력가속도이다. 초속도가 0일 때의 낙하운동을 자유낙하운동이라고 하고 이때의 낙하거리는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


- 다음
- 다운 증후군 [Down's syndrome, -症候群] 2017.01.24
- 이전
- 다발성골수종 [Multiple myeloma, 多發性骨髓腫] 2017.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