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다니엘전지 (Daniell cell)

작성일 2017-01-19
황산아연과 황산구리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하고 음극에 아연, 양극에 구리를 사용한 전지. 일차 전지의 하나로서 영국의 J. F. 다니엘이 발명했다. 황산아연의 수용액 속에 아연을 침투시키고, 황산구리 수용액 속에 금속 구리를 넣어서 양쪽의 수용액이 혼합하지 않게 격벽(隔壁 ; SO42-만 통한다)으로 분리한다. 전지 속에서는 음극의 아연봉이 녹아 양극에 구리가 석출하여 Zn + CuSO4 → Cu + ZnSO4의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아연극에서는 전자(電子)가 증가하고 구리극에서는 전자가 부족하게 되어 양쪽 극을 연결하면 전자가 아연극에서 구리극으로 흐르므로 전류가 구리극에서 아연극으로 흐르게 된다. 이 전지의 기전력은 약 1.1V지만 전지에 이 기전력보다 높은 반대의 전압을 가하면 전류는 반대방향으로 흐르고 위의 화학반응도 반대로 진행한다. 즉, 다니엘전지는 가역전지이다. 다니엘전지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