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뉴턴 역학 (Newtonian mechanics)

작성일 2017-01-16
뉴턴의 운동 법칙(관성의 원리·운동 방정식·작용 반작용의 원리)에 기초를 둔 고전역학. 고전역학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인데 고전역학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한 뉴턴의 이름을 따 뉴턴 역학이라고 한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매우 정확하게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뉴턴 역학은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 이론으로 인해 많은 한계성을 드러낸다. 그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용성을 갖고 있는데, 일단 비교적 수학적으로 간단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대략적으로 옳은 결과를 주는 범위가 아주 넓다는 점이다. 뉴턴은 저술서‘프린키피아’를 통해 고전역학의 바탕을 이루는 뉴턴의 운동 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을 기술하였고 고전역학에서 사용하는 수학계산에 필요한 미적분학을 개발한다. J. C.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과 더불어 고전물리학의 기초를 이루어 19세기 말까지 그 근본원리가 모든 역학현상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확립하여 뉴턴 역학의 시간 · 공간의 절대성 개념에 근본적인 변혁을 초래했고 원자 · 분자의 현상이 분명해짐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자연히 제한되어, 오늘날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워졌을 때에는 상대성이론이, 미시적(微視的)인 세계에서는 양자역학이 각각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재는 상대성역학에 대해 뉴턴의 법칙을 기초로 하는 역학을 뉴턴 역학이라 하고, 상대성역학 · 뉴튼역학 등 양자역학 이전의 역학을 양자역학과 대치시켜 고전역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뉴턴 역학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