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륙운하(內陸運河)

[요약] 내륙교통을 위해 인공적으로 건설한 인공 수로를 말한다.
내륙교통을 위해 하천·호수·해만(海灣)을 인공적으로 연결하여 건설한 인공 수로. 내륙운하 개착(開鑿)의 역사는 기원전 수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수운(水運) 외에 관개·용수 공급에도 이용되었다. 사상 최초의 대규모 내륙운하는 중국의 양쯔강(揚子江)·황허강(黃河)·빠이허강(白河)을 연결한 대운하로, 전한(前漢; B.C. 206~A.D. 5) 때에 시작되어 원대(元代)인 13세기 말에 완성되었다.
내륙운하 건설이 특히 활발했던 때는 18~19세기의 산업혁명기로서, 유럽·미국 등지에서 많은 대규모 운하들이 개착되어 내륙수송의 중요한 몫을 했다. 그 후 철도교통의 발달로 내륙운하의 중요성이 점차 감퇴되었다. 현재 중요 내륙운하로는 라인강과 엘베강을 잇는 독일의 미텔란트 운하, 독일의 루르지방과 프랑스의 로렌 지방을 잇는 모젤 운하, 라인강과 다뉴브강을 잇는 루드비히 운하 등을 들 수 있고, 소련에는 볼가강과 돈강을 잇는 볼가돈 운하, 북 아메리카에는 슈피리어호(湖)와 휴런호(湖)를 잇는 수세인트마리 운하, 허드슨강과 이리호(湖)를 잇는 이리 운하, 이리호와 온타리오호를 잇는 웰란드 운하, 미시간호와 미시시피강을 잇는 일리노이미시간 운하 등이 있다.


- 다음
- 내열시멘트(heat-resistant cement, 耐熱─) 2017.01.16
- 이전
- 뉴턴 냉각 법칙 (Newton's law of cooling) 2017.01.16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