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기체분석[gas analysis, 氣體分析]

작성일 2017-01-05
[요약] 기체를 대상으로 하는 화학 분석으로 기체의 색·냄새·연소성·조연성 또는 어떤 물질에 흡수되는지 등을 조사하여 정성적으로 기체의 성분 및 조성을 알아내는 일이다. 기체의 물질 상태에 대한 화학 분석의 총칭. 기체의 색·냄새·연소성·조연성(助燃性) 또는 어떤 물질에 흡수되는지 등을 조사하여 정성적(定性的)으로 기체의 성분 및 조성(組成)을 알아내는 일. 각종 기기를 사용하는 특별한 방법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① 흡수법 : 각종 기체 흡수제와 시료(試料) 기체를 혼합하여 흡수제에 흡수된 양을 측정함으로써 정량(定量)한다. ② 연소법 : 시료기체에 산소 등을 가하여 연소 반응을 일으키고 이 때 일어나는 부피의 변화, 발생한 탄산가스 등으로부터 성분의 함량을 결정한다. ③ 적정법(滴定法) : 일정량의 시료기체를 흡수액에 통과시켜 흡수액을 적정한다. ④ 중량법 : 적정법과 같으나 생긴 침전의 중량 또는 흡수제의 증가량을 측정한다. 수증기를 함유하는 기체를 과염소산마그네슘 등의 건조제에 통과시켜 그 중량을 재면 물의 양을 알 수 있다. ⑤ 비색법(比色法) : 시료기체를 흡수액 에 통과시켜 발색(發色)하면 그대로, 발색하지 않으면 발색시약을 가하여 비색정량한다. ⑥ 시험지법 : 비색법의 변형으로 시약을 흡수시킨 시험지의 변색을 본다. ⑦ 검지관법(檢知管法) : 이것도 시험지법과 비슷한 방법이다. 검지관이란 기체와 반응하여 변색하는 시약을 실리카겔에 흡수시켜 가느다란 유리관에 채운 것을 말한다. 여기에 기체를 통과시켜 변색 정도를 보아 성분을 정량한다. ⑧ 물리적 가스분석법 : 기체의 밀도·점도(粘度)·음속·열전도율·굴절률·스펙트럼·자화율(磁化率), 기타 각종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여 정량한다. 방법은 화학적 방법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분석법이지만 화학적 방법과 병용하여 분석 목적을 이루는 수가 많다. ⑨ 질량 분석법 : 질량분석계에 의해 분석한다. 탄화수소 혼합가스·희가스·동위원소 등의 분석에 이용된다. ⑩ 저온 증류법(低溫蒸溜法) : 시료기체를 냉각시켜 액화(液化)한 다음 정밀증류하는 방법. ⑪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 이동상(移動相)의 기체〈carrier〉를 사용하고 고정상(固定相)의 기체를 채운 관에 시료기체를 통과시켜 각 성분으로 분리시키는 방법. 이 방법은 확인·정량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특히 유기 가스의 분석에 많이 쓰인다. 이 밖에 흔히 기체의 부피측정에 귀착시키는 기체 정량법·가스 용량분석도 일반적으로 가스 분석이라고 한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