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구분[climatic division, 氣候區分]

[요약] 기상 관측으로 얻은 데이터와 그 토지의 자연, 풍토 등의 기준에 맞는 지역을 하나의 기후구로 하고, 지구상 또는 한정된 지역을 몇 개의 기후구로 나누는 것이다.
기후구분은 기압, 습도, 풍속 등에서 공통점을 찾아 기후형을 나누고, 그것으로 지역을 나누는 것을 말한다. 기후구분의 방법은 목적에 따라 다르며 크게 나누면 기후의 차이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동식물·육수(陸水)·토양 등을 선택하여 그 분포에 맞추어 경험적으로 실시하는 결과적 구분과, 기후를 발생하게 하는 원리에 착안한 기후학적 구분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후 구분의 기준은 그 지역에 성립하는 식물군락의 형태이다. 그 지역의 자연의 경관을 크게 규정하고 그 이외의 모든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식물군락은 그곳을 주거 지역으로 삼은 사람의 생활, 활동양식을 결정한다. 그 지역에 형성된 식물군락과 농업은 관계가 매우 깊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기후 구분은 쾨펜이 1923년에 발표하고 이후 가이거의 수정을 거친 ‘쾨펜의 기후 구분’이다.



- 다음
- 구과식물 [conifer, 毬果植物] 2017.01.03
- 이전
- 구계 [canal system, 溝系] 2017.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