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적 퇴적광상[mechanically formed ore deposit, 機械的堆積鑛床]

풍화를 잘 받지 않는 무거운 유용광물이 강이나 바다의 유수(流水), 빗물의 작용에 의해 사층(砂層)이나 점토층(粘土層) 속에 모여 퇴적한 광상. 생성원인에 따라 광상을 세 가지로 나누었을 때 연괴(軟塊, magma)광상 · 변성(變成)광상과 더불어 퇴적광상으로서 한 가지를 이룬다. 퇴적광상에는 화학적 침전광상 및 유기적 퇴적광상도 포함된다. 암석이나 광상의 노두(露頭)가 풍화작용으로 부서져 암석편이나 광물편이 강으로 흘러들면 유수에 의해 더욱 부서지면서 하류로 운반된다. 그 사이에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고 비중이 큰 광물은 선별되어 강밑에 집중 퇴적하여 사층이나 점토층사이에 광상을 이룬다. 이 광상을 사광상(砂鑛床)이라고도 하며 해안 근처에서도 파도의 작용에 의해 이러한 광상이 생긴다. 금 · 백금 · 자철광 · 티탄철광 · 주석광 등의 사광상은 경제적으로 중요하다. 화강암 지대에서는 화강암 중의 석영이 집중 퇴적된 규사광상, 또는 장석이 풍화 분해하여 생긴 고령토광상 등이 있다.


- 다음
- 기계적 퇴적작용 [mechanical sedimentation, 機械的堆積作用] 2016.12.28
- 이전
- 기저 역암[basal conglomerate, 基底礫岩] 2016.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