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삽법(interpolation, 內揷法)

[요약] 보간법(補間法)이라고도 한다. 실변수 x의 함수 f(x)의 모양은 미지이나, 어떤 간격(등간격이나 부등간격이나 상관없다)을 가지는 2개 이상인 변수의 값 xi(i=1,2,…,n)에 대한 함수값 f(xi)가 알려져 있을 경우, 그 사이의 임의의 x에 대한 함수값을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실변수 x의 함수 f(x)의 형이 미지이고 일정한 간격(등·부등은 불문)을 둔 둘 이상의 변수의 값 xi(i=1,…,n)에 대한 함수값 f(xi)가 알려져 있을 때 그 사이 임의의 x에 대한 함숫값을 추정하는 조작을 보간(補間)이라고도 한다.
보통 f(xi)로 만들어 지는 다항식으로 f(x)에 근사시킨다. 즉
에 따라 상수계수
를 정하고
에 따라 임의의 x에 대한 f(x)의 값을 추정한다.



- 다음
- 내생포자(endospore, 內生胞子) 2016.12.16
- 이전
- 내분(internal division, 內分) 2016.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