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남성[male, 男性]

작성일 2016-11-29
[요약] 인간의 성은 단순히 생물학적 의미만을 가지지 않는다. Y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수정되어 결정된 성을 남성이라 한다. 여성에 대응하는 개념. 인간의 성(性)을 결정하는 생물학적 기반은 성염색체(性染色體)에 있으며, 개체의 성은 수정되는 순간에 결정된다. 즉, Y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난자와 결합하면 남성이 된다(수컷 헤테로형의 성결정). 최근 성적 이상(性的異常)의 염색체연구 결과에 의하면 클라인펠터 증후군(症候群 ; 염색체는 XXY, 표현형은 남성이지만 생식 능력이 없다)이나, 터너 증후군(염색체는 XO, 생식능력이 없는 여성)의 분석에 따라 인간에게는 Y염색체에 남성화의 결정권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클라인펠터 증후군에서 정소(精巢)의 발육이 억제되는 사실이 나타나는 것과 같이, 두 X염색체에 의해 나타나는 난소발육유기력(卵巢發育誘起力)과, 하나의 Y염색체가 가지는 정소발육유기력(精巢發育誘起力) 사이의 역차(力差)에 의해 성의 발현이 좌우되므로 단순히 Y염색체의 존재만으로 남성화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물학적으로 본 남성과 여성은 유성생식으로 번식하는 생물의 자웅성(雌雄性)이 인간에게 나타난 데 지나지 않으나, 이것을 웅성(雄性)·자성(雌性)이라 부르지 않는 그 개념 속에 생물학적 의미를 넘어선 내용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남성은 일반 생물의 웅성을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의 차원까지 끌어올림으로써 인간 이외의 웅성과 스스로 구별하고 있다. 이 사실은 예컨대 성충동의 계절적 주기성을 극복 또는 완화하여 성생활을 일상화시킨 사실에도 반영되었다.성에 지배되고 있는 상태에서 성을 지배하고 순화시키는 상태로 진화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남성만이 아니라 여성에게도 적용되는 것이나, 여성의 경우에는 생리적으로 임신·분만·육아(育兒)라는 부담을 안고 있으므로 남성에 비해 보다 성에 지배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