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난관(oviduct, 卵管)

작성일 2016-11-15
[요약] 배란된 난자(卵子)를 생식공(生殖孔)까지 운반하는 관. 수란관(輸卵管)이라고도 한다. 배란된 난자(卵子)를 생식공(生殖孔)까지 운반하는 관. 수란관(輸卵管)이라고도 한다. 난소(卵巢)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배란된 난자는 복강(腹腔) 속으로 일단 나왔다가 난관으로 들어간다. 난생(卵生)에서는 배란 후에 난관벽에서 나오는 분비물에 의해 알 주위에 난막(卵膜)이 만들어진다. 포유류는 태생(胎生)이므로 난관의 일부가 분화하여 자궁·질(膣)이 되었기 때문에 그 외의 부분을 좁은 뜻의 난관, 또는 나팔관이라 하며 이것을 발견한 이탈리아의 해부학자 G. 팔로피우스(1523~62)의 이름을 따서 팔로피우스관이라고 한다. 사람의 난관은 근섬유(筋纖維)로 된 길이 7~15cm의 관이며 자궁저에서 옆을 향하여 자궁광간막(子宮廣間膜)의 가장자리를 사행(蛇行)한다. 좌우 한 쌍이 있으며 자궁에 이어지는 부분이 가장 좁고(卵管狹部), 점차 팽대하여(卵管膨大) 깔때기 모양이 되고(卵管漏斗), 이어서 꽃잎 모양으로 복강과 연결된다. 난관채(卵管采)의 길이는 똑같지 않고, 그 중에서 가장 긴 한가닥만이 난소의 난관 끝에 연결되며 그것을 난소채라고 한다. 난관누두는 난소의 안쪽 면과 자유연(自由緣)에 밀착되어 있다. 난관은 난소·자궁·자궁광간막으로 받쳐져 있고, 그 위치에 따라 난관의 위치도 다양하게 변한다. 난자는 난관을 통과하는 동안에 수정(受精)되어 발육하면서 자궁에 도달하며 난관임신(자궁외임신의 일종)일 때는 난관유산(卵管流産) 또는 난관파열을 일으켜 위험할 때도 있다. 난자는 난관누두의 섬모상피(纖毛上皮)에 의한 섬모운동과 난관의 연동운동(-動運動)에 의해 자궁으로 보내지며, 세균감염 등에 의한 난관염(卵管炎) 등으로 난관이 폐쇄되면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난관
이전
난각(egg shell, 卵殼) 2016.11.15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