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근시 [short-sightedness / near-sightedness / myopia, 近視]

작성일 2016-10-17
근시란 가까운 곳은 잘 보이나 먼 곳은 잘 보지 못하게 되는 눈의 상태를 말한다. 이는 물체의 상이 망막보다 가까운 곳에 맺히게 되어서, 즉 초점이 망막의 앞에 위치하여서 발생하는데 그 원인으로는 굴절성 근시와 축성근시의 두 종류를 들 수 있다. 굴절성 근시는 수정체와 망막의 사이, 즉 안축의 길이는 정상이지만 수정체의 굴절률이 지나치게 높아서 발생하며. 축성근시의 경우 수정체의 굴절률은 비교적 정상이지만 수정체와 망막의 사이가 너무 멀어서 초점이 망막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근시의 경우 굴절성 근시와 축성근시 모두에 대하여 오목렌즈로 교정이 가능하다.
근시
근시의 원인과 그 교정법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