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전 주기 [sidereal period, 公轉週期]

한 천체가 궤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공전 주기라고 한다.
케플러 법칙을 이용해 물리적인 접근으로 공전주기를 계산할 수도 있으나 항성 주기, 회합 주기, 교점 주기, 근점 주기, 회귀 주기같이 다른 방법으로 공전 주기를 구할 수도 있다. 항성 주기는 항성을 기준으로 해서 천체가 모천체를 일주하는 시기이며, 회합 주기는 합에서 다음 합까지의 시간으로 계산한다. 교점 주기는 천체가 승교점을 통과하는 주기이며, 근점 주기는 천체가 근일점을 통과하는 주기이고, 회귀 주기는 적경 0도를 통과하는 주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달은 달이 항성을 기준으로 하여 항성과 합(合)이 된 후 다음에 합이 될 때까지의 항성월(恒星月), 태양을 기준으로 하는 삭망월(朔望月), 근지점(近地點)을 통과한 뒤 다시 근지점에 돌아오는 근점윌(近點月), 승교점(昇交點)을 통과한 후 다시 승교점으로 되돌아오는 교점월(交點月) 등은 모두 달의 공전주기이다. 태양의 경우도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는 회귀년(回歸年), 항성을 기준으로 하는 항성년 등의 공전주기가 있다.
- 다음
- 1차원(one dimension, 一次元) 2016.09.28
- 이전
- 공전 속도 [orbital velocity, 公轉速度] 2016.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