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준(postulate, 公準)

공준이란 요청이라고 하며, 거의 공리와 비슷한 뜻으로 사용된다.
물론 엄밀하게 따지면 둘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공리가 어떤 이론을 전개함에 있어 증명 없이 참이라고 가정된 명제로, 이론을 전개하는 데 기초가 된다면, 공준은 특정 분야에만 한정된 공리를 이르기 때문이다. 즉, 공준은 공리의 부분집합이라고 생각하여도 좋으며, 사실상 기하학의 유클리드 공준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참고로, 유클리드 공준은 다음과 같다.
1. 임의의 점과 다른 한 점을 연결하는 직선은 단 하나뿐이다.
2. 임의의 선분은 양끝으로 얼마든지 연장할 수 있다.
3. 임의의 점을 중심으로 하고 임의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릴 수 있다.
4. 직각은 모두 서로 같다.
5. 평행선 공준: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같은 쪽에 있는 내각의 합이 2직각(180˚)보다 작으면 이 두 직선을 연장할 때 2직각보다 작은 내각을 이루는 쪽에서 반드시 만난다.
- 다음
- 공집합(empty set, null set, 空集合) 2016.08.09
- 이전
- 공역(codomain, 共域) 2016.08.09

관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