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대기 오염[atmospheric pollution]

작성일 2015-12-29
[요약] 대기오염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매연, 먼지 등의 오염 물질로 인해 공기가 더럽혀진 상태를 말한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매연, 먼지 등의 오염 물질로 인해 공기가 더럽혀진 상태를 말한다. 즉, 공장이나 자동차, 화력 발전소, 가정용 난방 기구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탄화수소 등의 오염 물질이 생물이나 환경에 직접적인 해나 불쾌감을 줄 만큼 많은 양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상태이다. 대기오염에 의한 대표적인 피해사례는 벨기에의 뫼즈계곡 사건, 미국의 도노라 사건, 런던 스모그 사건 등이 있다. 대기 오염의 악화는 지구의 온실효과, 산성비, 지구 온난화 현상, 오존층 파괴 등에 영향을 준다. 여기에서 대기오염물질이란 대기의 조성을 변화시켜 인간 사회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존재하는 천연 또는 인공물질을 말하며, 고체 · 액체 · 기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단일한 물질만으로 된 대기오염물질은 드물며, 일반적으로는 많은 종류와 크기로 된 복합물질이다. 크게 나누면 특정한 발생원에서 직접 방출되는 1차 오염물질과, 두 종류 이상의 1차 오염물질에 의한 상호작용이나 광화학반응 등에 의해 생긴 2차 오염물질이다. 〔오염의 역사〕 대기오염에는 세 개의 역사적 단계가 있다. 제1단계는 인류가 불을 다루기 시작한 이후이다. 요리나 난방을 할 때 생긴 매연과 폐기물 등에서 발생한 악취나 세균성 부유물을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주된 연료는 목재였으므로 대기오염은 국소적이며 경미한 것이었다. 제2단계는 14세기로부터 20 세기 전반기에 걸친 석탄 이용시대이다. 영국의 예를 들면 에드워드 1세(재위 1272~1307) 시대에는 석탄 사용에 대한 항의기록이 있으며, 에드워드 2세 (재위 1307~27) 시대에는 석탄 사용으로 유해한 냄새를 낸 자를 체벌한 기록이 있다. 그 후 과세에 의해 사용제한을 시도한 바 있었으나 석탄 사용은 계속 증가하여 19세기 후반기부터는 중공업의 급속한 발전시대를 맞이했다. 석탄 · 가스 · 철강 · 화학공업 등의 산업이 성장하는 한편, 가정에서의 석탄 소비량도 급증하여 도시는 매연으로 덮이게 되었다. 1952년에는 스모그의 발생으로 많은 사망자를 낸 런던사건이 일어났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도 급성(急性)으로 사망자를 낸 뮤즈계곡 사건이나 도노라 사건이 유명하다. 제3단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대기오염이다. 대규모의 공업지역이 조성되고 도시화가 진전되며 항공기와 자동차가 증가함으로써 일찍이 없었던 대기오염물질이 생기기 시작했다. 〔대기오염의 영향〕 산불이나 삼림의 남벌(濫伐)로 인한 대기오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는 괴사(壞死) · 황백화(黃白化) · 위축(-縮)의 세 종류가 있다. 이 밖에 특수한 영향으로 광합성률이나 산소작용의 저하, 호흡작용의 이상촉진, 세포막의 합성저해, 조직의 pH 변화, 원형질의 분리 등이 있다. 자연계 전체로는 수목의 활력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식물에 의존하고 있는 토양 속의 작은 동물에 악영향을 주어 생태계의 연쇄를 파괴한다. 또한 사람의 건강과 대기오염의 노출과의 관계는 복잡하다. 최근에 새로운 물질이 함유된 복합 대기오염의 영향이 주목되고 있으나 아직 그 전모(全貌)를 밝히지 못하고 있다. 영향 해명이 어려운 이유로는 사람의 생체반응에 폭넓은 스펙트럼이 있다는 점, 생체 반응에 기여하는 인자가 많다는 점, 복합오염물질의 노출량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점, 인체실험을 할 수 없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래서 현단계에서는 역학적(疫學的)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이다. 이 연구에 의하면 대기오염 노출에 의한 급성 영향에는 ① 만성질환에 걸린 약자집단의 과잉 사망, ② 심폐 질환에 결린 노인이 받는 더욱 심한 영향, ③ 만성호흡기 질환 환자의 증상 악화, ④ 급성 호흡기 질환의 이환율(罹患率) 증가, ⑤ 눈이나 호흡기의 자극증상 증가 등이 있다. 한편 만성적인 영향으로는 종국적으로 폐색성 폐질환(閉塞性肺疾患) 및 이로 인한 사망을 들 수 있다. 〔방지대책〕 발생원 대책과 공장입지 규제를 포함한 지역계획이 이에 속한다. 발생원 대책으로는 환경오염 방지장치의 설치, 원료 · 연료의 전환 등 발생원 방제기술(防除技術)의 채용 등이 가장 유효하며, 여기에 높은 굴뚝에 의한 확산 · 희석을 병행시키면 더욱 효과적이다. 발생원에서의 제거방법으로는 중력 침전을 이용하는 집진(集塵), 원심력을 이용하는 사이클론 집진, 백필터 등의 필터 집진, 전기집진기 등 의 정전기침착(靜電氣沈着) 집진, 초음파응집(超音波凝集) 집진, 분사식 · 벤투리식 · 사이클론식 세정기(洗淨幾)에 의한 세정제거, 기체 · 고체 흡착제거 등이 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