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대륙[continent, 大陸]

작성일 2015-12-23
[요약] 지구 표면으로 광대한 면적을 가진 육지를 말한다.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남극의 7개 대륙으로 나눈다. 지표 면적의 29.2%이고 이중에서 2/3이 북반구에 있다. 지형적인 의미로 대륙이란 지구상의 광대한 면적의 육지를 말한다. 대륙을 나누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나 보통 아시아와 유럽(유라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남극의 7대륙이 있다. 대륙 크기의 기준이 되는 것은 캐나다, 아이슬란드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그린란드이다. 면적이 2,166,086㎞2인 그린란드보다 넓으면 섬이 아닌 대륙으로 분류된다. 이 기준에 따라 그린란드의 4배 크기인 오스트레일리아는 대륙에 속한다. 대륙은 지질시대 때 해진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지질학적 · 지구물리학적인 뜻의 대륙은 화강암질층(花崗岩質層)이 분포하고 있는 범위를 가리킨다. 이 화강암질층의 두께는 장소에 따라 다르나 10km에서 20여km에 이른다. 화강암질층은 대륙 위뿐만 아니라 큰 해양의 주연부(周緣部)에도 펼쳐져 있다. 따라서 대륙을 둘러싼 해양저(海洋底)를 포함한 범위를 대륙지역(대륙지괴)이라고 부르고, 이 지역으로부터 바깥쪽의 해양역(海洋域)을 해양지역(해양지괴)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대륙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화강암질층과 해양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현무암질층(玄武岩質層)을 나누고 있는 선상(線狀) 지대에는 안산암(安山岩)이 분포하며 큰 해양의 주연역(周緣域)을 둘러싸고 있다. 대륙의 형성은 지질시대(地質時代)의 해침(海侵) 등의 영향이 요인이다. 예를 들면, 북부 프랑스에서 네덜란드에 이르는 대서양안이나 북해(北海) 남쪽 지방은 신생대 홍적세의 최종빙기(最終氷期)의 최성기 후기에 비롯된 플랑드르 해침의 영향을 받은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 해침은 후빙기(後氷期)의 해침이라고도 불리며, 약 1만 8,000~6,000년 전의 기간에 육지의 침강, 해면의 상승기(上昇期)를 가리키고 있다. 유럽 이외의 세계 각지에서도 이 해침과 거의 같은 시기에 일어난 육지 주연의 상대적 침수기(沈水期)가 알려지고 있다. 미국 동부의 뉴잉글랜드나 영국의 잉글랜드 등지에서도 플랑드르 해침의 영향이 상세하게 조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해침의 원인은 홍적세 말기 이후 빙하의 융빙수(融氷水)에 의한 빙하성 해면변동으로 추정되고 있다. 해면의 승강운동(昇降運動 ; 유스타틱 운동)은 홍적세 이전의 지질시대에도 있었다. 또 각 대륙의 상대적인 위치도 지질시대에 따라 달라지고 있었다. 〔대륙의 성인〕 일찍이 1875년 영국의 지질학자 L. W. 그린에 의해 제창된 4면체설은 지구의 냉각에 의해 남극과 북극 양지방, 유럽 · 아프리카 양대륙과 태평양, 북아메리카와 인도양 등이 각기 반대쪽에 생성했다는 설(說)인데 지각평형설(地殼平衡說)에 반하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질 · 고생물학자 E. 쥐스는 오래되어 단단하게 된 해성층(海成層)으로 이루어진 각 대륙이 습곡(褶曲)이나 단층(斷層) 등을 수반하는 지각운동(地殼運動)을 반복한 후 현재의 대륙이 형성되었다고 했다. 또 독일의 기상 · 지구물리학자 A. L. 베게너는 초대륙(超大陸 ; 원시대륙)이라고 불리는 단일(單一)대륙이 분열 · 이동해서 현재의 대륙이 되었다는 대륙이동설(大陸移動說)을 제창했다. 영국의 지질학자 J. 졸리는 지구 내부의 방사성물질의 붕괴로 생긴 열의 대류(對流)가 지표 가까이에서 냉각하여 또다시 침하(沈下)한다는 열윤회설(熱輪廻說)을 제창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대륙을 이동시키는 원동력에 대한 설명이 물리적으로 불충분하여 부인되고 있었으나, 최근의 고지자기학(古地磁氣學) · 해저의 열류량(熱流量) · 지자기이상(地磁器異常) 등의 연구와 판구조론(板構造論)에 의해 수정 · 부활되었다. 즉, 대륙 자체는 이동하지 않으나 대륙지각을 올려놓은 플레이트(지구 표면부의 단단한 판상물질)가 벨트컨베이어 모양으로 이동한다는 학설이다. 플레이트 이동의 원동력은 지구 최외부(最外部)의 지각과 중심부의 핵(核) 사이에 있는 맨틀 내의 대류(맨틀 대류)외에 플레이트의 무게에 따라 우묵하게 패이는 효과 등을 연구하고 있다. 대륙이란 용어를 붙인 명칭 중에는 대륙의 전역을 가리키지 않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대륙붕(大陸중棚)은 대륙의 주연부에 있는 완경사의 해저면이다. 또 대륙호(大陸孤)는 대륙 내에 있는 호상산맥(弧狀山脈)을 가리키고, 대륙빙상(大陸氷床)은 대륙의 일부를 뒤덮고 있는 빙하를 가리킨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