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단구구성층[terrace forming strata, 段丘構成層]

작성일 2015-12-23
[요약] 단구구성층은 단구를 이루는 쇄설물층(碎屑物層)으로, 단구역층(礫層)이라고도 한다. 단구를 이루는 쇄설물층(碎屑物層). 단구역층(礫層)이라고도 한다. 수성(水成) 쇄설물로 이루어진 지층의 윗면이 이수(離水)해 가는 과정, 혹은 그 후에 침식력의 증대나 침식기준 면의 상대적 저하 등에 의해 연변(緣邊)이 침식성의 벼랑이나 비탈과 같이 한정된 평탄면으로 남겨지는 수가 있다. 이 평탄면을 단구면, 벼랑과 비탈을 각기 단구애(段丘崖)·단사구면(斜面)이라 한다. 이 단구면을 윗면으로 하는 역층 등의 쇄설물층이 단구구성층이다. 또 강하화산(降下火山) 쇄설물과 수성쇄설물이 이웃한 지층으로 접합된 지교관계(指交關係)에 있을 때는 최종 이수면과 연속하는 강하화산 쇄설물층의 윗면을 이어서 단구면이라고 정의하는 방법과 수성쇄설물층의 윗면을 단구면으로 정의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전
단구[terrace, 段丘] 2015.12.23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