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막염[pleuritis, 肋膜炎]

[요약] 늑막(흉막)의 염증을 말한다.
늑막(흉막)의 염증. 흉막염이라고도 한다. 주로 결핵균에 의하며 그 밖에 폐렴 · 폐종양(肺腫瘍) · 폐괴저(肺壞疽)에서 속발되는 것을 비롯해 류머티즘열(熱)이 원인으로 생기는 것, 외상(外傷)이나 수술 후에 생기는 것 등이 있다.
발병하면 발열(發熱)과 동시에 측흉부(側胸部)에 통증이 생기며, 기침이나 가벼운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수도 있고, 피부가 창백해지며 식욕이 없어진다. 점차 호홉곤란이 심해지고 치아노제(청색증)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요량(尿量)이 감소되고 농축된다.
진단은 X선 사진으로 늑막강에 삼출액이 고인 것을 확인하면 확정된다. 필요에 따라 늑막천자(肋膜穿刺)를 하여 고인 물을 뽑아내며 액체의 성상(性狀) · 세균 · 세포를 검사함으로써 늑막염의 원인을 추구한다.
일반요법으로서는 안정을 취하고 식사는 영양이 많은 것을 섭취하며, 삼출액이 대량으로 늑막강 내에 고여 호흡곤란이나 치아노제가 일어날 때는 늑막천자를 하여 삼출액을 뽑는다. 결핵성 늑막염에는 항결핵제(抗結核劑)를 투여하고 폐의 화농성 질환에서 속발된 것은 원인균에 적절한 항생물질 요법을 쓴다. 류머티즘열에 의한 것은 그에 대한 치료를 한다.
- 다음
- 니코틴중독[nicotinism, ─中毒] 2015.12.16
- 이전
- 누두흉[pectus excavatum, 漏斗胸]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