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달랑베르의 원리[d’Alembert’s principle]

작성일 2015-12-16
[요약] 관성력을 도입하면 동역학을 정역학과 마찬가지로 힘의 평형이란 관점에서 다룰 수 있다는 원리를 말한다. 관성력을 도입하면 동역학을 정역학과 마찬가지로 힘의 평형이란 관점에서 다룰 수 있다는 원리. 1743년에 달랑베르가 도입했다. 구속운동을 하는 질점계에서 질점 i의 질량을 mi, ai(관성력은 -mi ai), 가상변위를 δsi라 하고, 작용하는 힘을Fi 와 Fi'로 나눠서 Fi'는 구속력(또는 강체의 내력 등)과 같이 질점계 전체에 대해 하는 일을 0이라 하면 ∑(Fi', δsi)=0이고 가상변위의 원리∑(Fi+Fi'-miai, δsi)=0의 형이 되어, Fi'(구속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런 뜻을 달랑베르의 원리라고 할 때도 있다.
통합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세요!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과학백과사전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